These are 10 of the worst mistakes in history
'8억원에 구글 인수 거절' 등 사상 최악의 실수 10가지가 공개됐다.
1. Turning down JK Rowling
Twelve publishing houses rejected JK Rowling’s Harry Potter manuscript before Bloomsbury finally took her on following the advice of the company chairman’s eight-year-old daughter Alice.
The books were subsequently translated into over 60 languages and have earned Rowling a reported $1bn (£670m).
1. J.K. 롤링 퇴짜 놓기다. J.K. 롤링의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해리포터 시리즈'는 블룸스버리 출판사가 출간을 결정하기 전까지 무려 12개 출판사로부터 퇴짜를 맞았다.
심지어 블룸스버리 출판사조차 회장의 8살짜리 딸의 추천 덕분에 이 책의 출간을 결정했다고 알려졌다. 우여곡절 끝에 겨우 출판된 '해리포터 시리즈'는 결국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전 세계 60개 언어로 번역됐고, 저자인 롤링에게 10억달러(약 1조 800억원)의 수입을 안겨줬다.
2. Throwing away that Bitcoin portfolio
James Howells bought 7,500 Bitcoins in 2009 when their value was next to nothing. By 2013, one Bitcoin was worth £613, giving the Welshman a portfolio worth £4.5m. The only trouble? He’d left his hard drive tucked away in a draw for years and then thrown it away without a minute’s thought. After realising his mistake, he made a hopeful trip to his local landfill site where he was told the hard drive could be at any spot under around 5ft of rubbish.
2. 쓰레기통에 버린 비트코인이다. 지난 2009년 온라인 가상화폐 비트코인 7500개를 구입한 영국 웨일스 출신의 제임스 하웰스는 몇 년 동안 비트코인을 저장한 하드디스크를 서랍에 처박아뒀다. 당시로서는 가치가 ‘0원’에 가까웠기 때문이었다. 결국 1분도 망설이지 않고 이 하드디스크를 버린 하웰스는 자신이 구입한 비트코인이 450만 파운드(약 72억 원)에 해당한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고 쓰레기매립지로 가서 1.5m가 넘는 쓰레기 더미를 뒤져야 했다.
3. Not buying Google for $1m
Google founders Larry Page and Sergey Brin approached Excite CEO George Bell in 1999,
saying they were looking to sell the search engine for around $1m. With Bell not keen on the initial offering,
the pair went down to $750,000 in a bid to tempt him. He still rejected. Today, Google is valued at around $365bn. Oops.
3. 8억 원에 구글 인수를 거절한 사연이다.
구글의 창업자인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은 지난 1999년 익사이트의 최고경영자(CEO)인 조지 벨에게
자신들이 만든 검색엔진을 약 100만 달러(10억 8000만 원)에 사라고 제안했다.
벨이 별 관심을 보이지 않자 이들은 가격을 75만 달러(약 8억 1000만원)까지 낮췄으나 거래는 성사되지 않았다.
15년이 흐른 구글의 현재 가치는 3650억달러(약 395조원)로 추산된다.
4. Not shooting Hitler

In 1914, British soldier Henry Tandey, who went on to become the most decorated private in the First World War,
came across an injured and unarmed Lance Corporal Adolf Hitler in a ditch,
but reportedly decided not to shoot him in cold blood (although there is some dispute over the accuracy of this story).
4. 히틀러를 쏘지 않은 영국 군인이다.
1차 세계대전에서 최고의 무공훈장을 받은 영국의 군인 헨리 탠디는
1914년 전장의 한 참호에서 부상을 당한 채 무장도 하지 않은 독일군 소속 아돌프 히틀러 일병을 우연히 만났다.
그러나 탠디는 히틀러를 쏘지 않았고, 살아난 히틀러는 2차 세계대전을 일으키게 된다.
다만 이 이야기의 정확성에 대해선 논란의 여지가 있다고 매체는 전했다.
5. Selling 610,000 shares instead of one
In 2005, a Japanese trader cost his company £190m after a so-called “fat finger” trade in which he sold 610,000 shares for 1 yen (0.5p)
instead of selling one share at 610,000 yen as he was supposed to.
Despite repeated requests from Mizuho Securities to cancel the trade, the Tokyo Stock Exchange refused to comply and the company was forced to buy back the shares at an inflated cost.
5. 61만 엔짜리 주식을 1엔에 판 주식중개인.
지난 2005년 일본 미즈호 증권의 한 주식중개인은 거래 도중 오타로 회사에 1억9000만파운드(약 3000억 원)의 손해를 끼쳤다. 고객으로부터 한 회사 주식 1주를 61만 엔에 팔아달라는 부탁을 받고서 거꾸로 주문을 입력하는 바람에 61만 주를
단돈 1엔에 팔아버린 것.
미즈호 증권 측은 도쿄증권거래소에 거래 취소를 요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결국 이 주식을 비싼 값에 되사야 했다.
6. Angering Genghis Khan
Genghis Khan, the ruler of the Mongol empire had sought to open diplomatic and trade links with Ala ad-Din Muhammad, Shah of the neighbouring Khwarezmid empire (modern day Iraq/Iran) in the 13th century.
However, after the offer was rejected and a Mongol diplomat beheaded, Khan reacted furiously, sending in an estimated 200,000 warriors and utterly destroying the empire.
다음은 칭기즈칸을 화나게 한 대가다. 몽골제국을 건설한 칭기즈칸은 현재의 이란, 이라크 지역을 지배하던 호라즘 제국의 왕 무함마드와 당초 열린 외교와 무역을 원했다. 그러나 무함마드가 몽골 사신의 목을 베고 자신의 호의를 거절하자 격노한 칭기즈칸은 20만 대군을 보내 호라즘 제국을 완전히 파괴하는 것으로 응수했다.
7. Turning down Brian Acton and Jan Koum for a job
Facebook turned down programmers Brian Acton and Jan Koum at job interviews in 2009.
A few years later, Facebook paid $19bn (£11.4bn) for WhatsApp - the company the pair had developed
after being rejected.
7. 인재를 못 알아본 페이스북이다.
세계 최대 소셜미디어인 페이스북은 지난 2009년 입사 면접에서 프로그래머인 브라이언 액튼과 얀 쿰의 채용을 거절했다.
몇 년 뒤 페이스북은 이들이 설립한 세계적인 메신저 ‘왓츠앱’을 190억 달러(약 20조 원)에 인수해야 했다.
8. Ordering trains that were too wide
The French state railway SNCF spent $15bn on a new fleet of trains this year. Unfortunately,
they were too wide for 1,300 station platforms across the country; a problem that will cost and estimated €50m (£36m) to fix.
“It’s like ordering a big, new car without checking the width of your garage,” said Emmanuel Grondein, of the SUD-Rail trade union.
8. 엉터리 주문으로 580억 원을 낭비한 국영기업이다.
프랑스 국영철도(SNCF)는 올해 초 총 150억 달러(약 16조 원)를 들여 신형 기차를 주문했다.
그러나 신형 열차의 폭이 프랑스 전역의 1300개 기차역 플랫폼을 통과하기에는 너무 넓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고,
확장 공사 비용으로 5000만 유로(약 580억 원)를 추가 투입해야 했다.
프랑스 철도노조 관계자는 “마치 차고 넓이를 재지 않고 커다란 신차를 주문한 것과 마찬가지”라고 개탄했다.
9. Signing Brian Poole and the Tremeloes

In 1962, record label Decca were looking to sign an up and coming band. They auditioned two young bands at their studios in London, deciding to sign Brian Poole and the Tremeloes. The one they rejected? A four-piece outfit from Liverpool known as The Beatles.
9. 비틀스를 못 알아본 레코드사도 있다.
세계적 음반 레이블인 데카는 1962년 두 팀의 젊은 밴드를 상대로 오디션을 한 뒤 ‘브라이언 풀과 더 트레멜로스’라는 밴드와 계약했다. 데카가 퇴짜를 놓은 나머지 한 팀은 리버풀 출신의 ‘비틀스’였다.
10. Misspelling a company name
The British government was sued for £9m after a clerical error inserting a rogue “s” saw the wrong company recorded as being in liquidation.
More than 250 people lost their jobs when Companies House mistook a 124-year-old Welsh family business called Taylor and Sons for Taylor and Son - a company that filed for bankruptcy in 2009.
10. 회사 이름 오타 실수.
영국 정부는 오타로 회사 이름을 잘못 표기하는 바람에 900만 파운드(145억 원) 상당의 소송에 휘말렸다.
파산 직전이던 ‘테일러 앤드 선(Taylor and Son)’이라는 회사명에 ‘s’를 덧붙이는 바람에
124년 전통의 웨일스의 가족 기업 ‘테일러 앤드 선스(Taylor and Sons)’가 마치 청산 절차에 들어간 것처럼 잘못 알려졌기 때문이다. 그 결과 ‘테일러 앤드 선스’의 직원 250여명이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전해졌다.
http://i100.independent.co.uk/article/these-are-10-of-the-worst-mistakes-in-history--e1xiqTmG61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