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살기좋은 나라28위?노르웨이 7년 연속 1위
영국 싱크탱크 레가툼 연구소가 세계 142개 나라를 대상으로 순위를 매겨 발표한
'2015 레가툼 세계 번영 지수'에서 한국은 지난해보다 3계단 떨어진 28위에 올랐다.

한국은 경제(17위), 기업가 정신·기회(23위), 교육(20위), 보건(21위), 안전·안보(17위) 등의 분야에서 상위권(1~30위)에 올랐다.

* 우리나라는 개인의 자유(66위),사회 공동체 구성원 간의 협조와 네트워크를 일컫는 사회적 자본(85위)는 특히나 개선해야 할 점이 많은 곳으로 나왔다.

*국가 안전도에 관한 평가도 함께했는데 가장 안전한 나라로는 영국과 싱가포르, 뉴질랜드가 해당되었고, 미국과 사우디 아라비아, 우크라이나의 경우
가장 위험한 국가로 평가되었다.

*경제면에서 가장 높은 국가 경쟁력을 가진 나라로는 룩셈부르크와 싱가포르 노르웨이 스위스 등이
가장 앞선 경쟁력을 가진것으로 평가되었다.

* 부자나라 사우디 아라비아 42위 !
비정상 회담에 출연한 사우디 국적 야세르의 방송내용이다.
국민대부분이 잘산다는 나라이지만
국제적 평가는 다른면이 있다.
안전면에서 위험한 나라로 꼽히고 개인 자유에서는 그보다 더 않좋은 110위를 기록했다.
물질적 부는 무조건적인 행복을 가져오는가? 에
대해 생각해볼 수있는 대목이다.
한국은 2009년 첫 조사에서 29위에 올랐고, 2011년 조사에서 가장 높은 24위를 기록한 바 있다.
아시아 국가 중에는 경제 부문 1위를 차지한 싱가포르가 17위로 가장 높았고, 보건 분야 7위인 일본이 19위, 안전·안보 분야 1위인 홍콩이 20위, 대만이 21위 등으로 한국보다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전체 1위는 북유럽의 복지국가 노르웨이에 돌아갔다.
7년 연속 정상을 지킨 노르웨이는 사회적 자본, 개인의 자유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노르웨이에 이어 스위스, 덴마크, 뉴질랜드, 스웨덴, 캐나다, 호주, 네덜란드, 핀란드, 아일랜드가 1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미국은 안전·안보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33위)를 얻어 전체 11위에 올랐고 독일이 14위, 영국이 15위, 프랑스가 22위를 각각 차지했다.
반면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아프가니스탄, 아이티, 차드, 부룬디, 콩고민주공화국, 시리아, 예멘 등은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http://www.prosperity.com/#!/ranking
사회적 자본, 개인의 자유, 경제, 안전·안보 , 교육 ?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끌어갈 우리청소년들에게
중요한 분야는 무엇일가요?
청소년과 함께하는 여행
르몽드
www.lemond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