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은 1997년 7월1일 영국에서 중국으로 주권이 반환됐다. 2003년 이후 홍콩에선 매년 주권반환일에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위가 열려왔다. 올해는 송환법으로 촉발된 정부에 대한 불만으로 집회 규모가 예년보다 커졌다. 성난 민심에 놀란 홍콩 정부가 송환법 추진을 보류했지만 시위는 중국 정부와 람 행정장관에 대한 반대로 확대됐다. 지난달 30일 21세 여대생 뤄샤오옌이 ‘송환법 철회될 때까지 끝까지 싸우자’는 유서를 남기고 투신하면서 시위가 더욱 격화된 양상이다.
영국 정부는 반환일에 맞춰 중국 당국이 홍콩 반환 당시 조건들을 준수하도록 계속 압박하겠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제러미 헌트 외무장관은 지난달 30일 성명에서 “반환협정은 법적 구속력이 있는 조약으로 조인 당시와 마찬가지로 오늘날에도 유효하다”고 밝혔다. 이에 겅솽(耿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일 정례브리핑에서 “영국은 홍콩에 대한 어떠한 책임도 존재하지 않는다”며 “홍콩에 관한 사무는 완전히 중국 내정으로, 어떠한 국가도 간섭할 권리가 없다”고 반박했다.
https://news.v.daum.net/v/20190701214351676
Oxford students express solidarity with Hong Kong protestors
Oxford University students and staff, many having connections with Hong Kong, gathered outside the Radcliffe Camera on Thursday evening in a silent protest against the recent political turmoil in the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particularly the passage of the Extradition Law Amendment Bill and the ensuing protests.
After convening outside the front entrance of the Radcliffe Camera, the protestors formed a circle around the front side of the building, sitting silently, in solidarity with fellow students involved in the protests taking place in Hong Kong.
https://www.oxfordstudent.com/2019/06/17/oxford-stands-in-solidarity-with-hong-kong-protesters-in-radcliffe-square/